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캐나다이민 RCIP & FCIP: 지역 경제와 프랑스어권 이민을 위한 새로운 기회

by 대화창 2025. 2. 12.

담담 일상입니다.

 

제가 캐나다에 거주하다 보니, 이민을 해야 되는 목표를 가지고 생활했습니다. 근데 이게 쉬운 아닌 상황입니다. 최근에 이민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의견, 이전 총리가 캐나다를 곤경에 빠트렸다는 소식까지, 모든 것이 다인종 국가가 된 캐나다가 어떤 이민 정책을 도입해서 이런 사회적, 경제적 도전을 어떻게 대응하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 같습니다.

그중에서 이민정책을 바꾸는 과정에서 많은 혼란이 일어나고 있는데요. 그래도 이민이 어려워도 여기서 살 사람들이 캐나다 정책에 맞춰야겠죠. 

 

오늘은 새로운 이민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캐나다 정부는 농촌 지역과 프랑스어 사용 소수 지역의 인구 감소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이민 파일럿 프로그램인 RCIP(Rural Community Immigration Pilot)와 FCIP(Francophone Community Immigration Pilot)를 도입하였습니다. 이 프로그램들은 기존의 RNIP(Rural and Northern Immigration Pilot)를 기반으로 개선되어, 2025년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RCIP(Rural Community Immigration Pilot)

  • 목적: 농촌 지역의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고, 지역 기업이 필요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참여 지역: 총 14개의 지역이 참여하며, 주요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노바스코샤 주: 픽투 카운티(Pictou County)
    • 온타리오 주: 노스베이(North Bay), 서드베리(Sudbury), 티민스(Timmins), 수 세인트 마리(Sault Ste. Marie), 썬더베이(Thunder Bay)
    • 매니토바 주: 스타인바흐(Steinbach), 알토나/라인란드(Altona/Rhineland), 브랜든(Brandon)
    • 사스카츄완 주: 무스조(Moose Jaw)
    • 알버타 주: 클래어스홈(Claresholm)
    •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웨스트 쿠트니(West Kootenay), 노스 오카나간 슈스왑(North Okanagan Shuswap), 피스 리어드(Peace Liard)

FCIP(Francophone Community Immigration Pilot)

  • 목적: 퀘벡 주 외의 프랑스어 사용 소수 지역에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신규 이민자의 정착을 촉진하여 경제 발전과 인구 증가를 도모합니다.
  • 참여 지역: 총 6개의 지역이 참여하며, 주요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뉴브런즈윅 주: 아카디안 페닌슐라(Acadian Peninsula)
    • 온타리오 주: 서드베리(Sudbury), 티민스(Timmins), 수페리어 이스트 지역(Superior East Region)
    • 매니토바 주: 생피에르 졸리(St. Pierre Jolys)
    •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켈로나(Kelowna)
      *참고로 FCIP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프랑스어 CLB5는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지원 요건:

  • 취업 제안: 참여 지역 내 지정된 고용주로부터 유효한 잡오퍼를 받아야 합니다.
  • 경력: 최근 3년 내에 최소 1년(1,560시간)의 관련 업무 경험이 필요합니다.
  • 언어 능력: 직업의 TEER(Training, Education, Experience and Responsibilities)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언어 능력이 요구됩니다:
    • TEER 0 또는 1: CLB 6
    • TEER 2 또는 3: CLB 5
    • TEER 4 또는 5: CLB 4
  • 학력: 캐나다 고등학교 졸업 또는 이에 상응하는 외국 학력을 보유해야 합니다.
  • 재정 능력: 본인과 가족의 정착을 지원할 충분한 자금을 보유해야 합니다.

지역 경제 성장과 인구 유입 촉진

2024년 12월 기준, RNIP를 통해 8,580명의 신규 이민자가 영주권을 취득했습니다.
또한, 2022년 기준 RNIP 참여자의 87%가 해당 지역에 계속 정착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신규 파일럿 프로그램 역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프랑스어권 이민자 정착 지원 확대

RCIP 및 FCIP는 캐나다 이민국의 ‘프랑스어 이민 정책(Policy on Francophone Immigration)’의 핵심 조치 중 하나로 추진되었습니다. 특히 Acadian Peninsula, Sudbury, Timmins, St. Pierre Jolys 지역은 기존 Welcoming Francophone Communities 프로그램에도 참여한 바 있어, 앞으로도 이민자들의 원활한 정착을 돕기 위한 다양한 지원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더보기

캐나다는 다양한 이민 프로그램을 통해 대도시와 교외 지역 간의 균형을 맞추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역 내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려는 기대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캐나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어 이민자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이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고용주만 나타난다면, 농촌이나 소도시로 이주하는 것도 괜찮을 듯하네요~

2025.01.31 - [분류 전체보기] - [정부 지원] 캐나다 차일드 베네핏(CCB) 신청부터 연장까지! 양육보조금 완벽 가이드

 

[정부 지원] 캐나다 차일드 베네핏(CCB) 신청부터 연장까지! 양육보조금 완벽 가이드

1. 차일드 베네핏(Canada Child Benefit, CCB) 신청 방법1) 신청 자격캐나다 거주자로서 영주권자, 시민권자, 임시 거주자(워크 퍼밋 또는 스터디 퍼밋 소지자)신청자와 자녀 모두 캐나다에 거주해야 함

youhowto.tistory.com

2025.01.24 - [분류 전체보기] - 캐나다 해외 취업을 하고 싶다고? 그 현실은

 

캐나다 해외 취업을 하고 싶다고? 그 현실은

캐나다에 온지 3년이 훌쩍 지났습니다. 유학이민의 방법으로 들어왔는데, 대학원 졸업은 해서  PGWP 도 받을 수 있어서 좀 더 캐나다에서 머물수 있게 됐습니다.이제 그 마저도 얼마 안남았네요.

youhowto.tistory.com